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BOJ 2167] 2차원 배열의 합 문제 2차원 배열이 주어졌을 때 (i, j) 위치부터 (x, y) 위치까지에 저장되어 있는 수들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배열의 (i, j) 위치는 i행 j열을 나타낸다. 입력 첫째 줄에 배열의 크기 N, M(1 ≤ N, M ≤ 3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배열이 주어진다. 배열에 포함되어 있는 수는 절댓값이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그 다음 줄에는 합을 구할 부분의 개수 K(1 ≤ K ≤ 10,000)가 주어진다. 다음 K개의 줄에는 네 개의 정수로 i, j, x, y가 주어진다(1 ≤ i ≤ x ≤ N, 1 ≤ j ≤ y ≤ M). 출력 K개의 줄에 순서대로 배열의 합을 출력한다. 배열의 합은 231-1보다 작거나 같다. 예제 입력 1 복사 2 3.. 2023. 6. 11.
백준 실버5 : sort(key=) 단어의 정렬 https://www.acmicpc.net/problem/1181 1181번: 단어 정렬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이 주어진다. (1 ≤ N ≤ 2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문자열의 길이는 50을 넘지 않는다. www.acmicpc.net 좌표의 정렬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0 11650번: 좌표 정렬하기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번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www.acmicpc.ne.. 2023. 5. 23.
[1차] 캐쉬(python)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0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컴퓨터 공학과 전공이 아니다 보니 CS 부문에 대해 무지하여 문제를 이해하는데 많은 힌트들이 필요했다. 이 내용은 사실 해당 문제를 풀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내가 이해한 Cache 내용에 대한 정리에 가깝다. Cache 캐시(Cache)는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값을 미리 가져다 놓는 임시 메모리이다. 캐시가 없다면 CPU가 특정 값을 필요로 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CP.. 2023. 5. 19.
[DL] 비선형 활성화 함수, 과적합, 최적화 목차 1. 비선형 활성화 함수와 필요성 2. 과대적합(overfitting) 과 과소적합(underfitting) 1. 비선형 활성화 함수와 필요성 (1) 활성화 함수 앞선 파트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했던 딥러닝에서 중요한 활성함수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활성함수는 선형 함수와 다른 비선형함수라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비선형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바로 선형이 아닌 분포에 대해 구분하고자 함이다. 만약 활성화 함수마저 선형함수가 되면 문제는 z = WX+b, activation(z)와 같이 활성 함수를 합성함수의 형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활성함수가 선형함수라면 $f(f(f(z))) = w(w)(wx)$ 와 같은 형태로 $out = w^{3}x$와 같은 결과적으로 선형함수의 형태로 나오게 된다. .. 2023. 5. 13.
[BOJ 10448] 유레카 이론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448 10448번: 유레카 이론 프로그램은 표준입력을 사용한다. 테스트케이스의 개수는 입력의 첫 번째 줄에 주어진다. 각 테스트케이스는 한 줄에 자연수 K (3 ≤ K ≤ 1,000)가 하나씩 포함되어있는 T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www.acmicpc.net 브론즈 1문제이다. 유레카 이론은 삼각수의 합을 통해서 모든 자연수를 표현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 표현하지 못하는 수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수를 구별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즉 , 임의의 자연수를 $T_{i} + T_{j} + T_{k}$ 또는 $T_{i} + T_{j}$ 또는 $T_{i}$ 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와 아닌경우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 문제의 해법은 생각보다.. 2023. 5. 9.
[DL] 퍼셉트론과 역전파 목차 1. 단일 퍼셉트론(Single-Layer Perceptron) 2.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 3. 역전파 알고리즘(Backpropagation) 1. 단일 퍼셉트론(Single-Layer Perceptron) 1.1 단일 퍼셉트론 개념 및 구조 퍼셉트론은 뇌를 구성하는 신경 세포 뉴런의 동작을 기반해서 블라블라.. 는 흔한이야기 이다. 이 내용은 대충 건너뛰고 퍼셉트론의 구조와 개념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퍼셉트론은 다수의 입력을 받아 노드(뉴런)에 보내지는 경우 각각 고유한 가중치(Weight)가 곱해지게 된다. 이때 가중치가 클수록 해당 신호가 그만큼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 $w_{1}x_{1} + w_{2}x_{2} +... +w_{n}x_{n}$ 이 .. 2023. 5. 9.